[1번지이슈] G7, 북 ICBM 규탄…최선희 "유엔총장, 美허수아비"<br /><br />■ 방송 : <br />■ 진행 : 정영빈, 이윤지 앵커<br />■ 출연 : 문성묵 한국국가전략연구원 통일전략센터장<br /><br />북한이 화성-17형 발사 영상을 공개하며 'ICBM 부대'의 존재를 공식화했습니다.<br /><br />7차 핵실험 가능성이 어느 때보다도 커졌다는 관측이 나오는데요.<br /><br />G7 외무장관들은 북한의 ICBM 발사 규탄 성명을 발표했고 내일은 북한 미사일 도발을 다룰 UN 안보리 회의가 열립니다.<br /><br />문성묵 한국국가전략연구원 통일전략센터장 모시고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<br /><br /> 북한이 '화성-17형' 시험 발사와 관련해서 "후대를 위해 핵병기를 양적으로 계속 늘리겠다"고 밝혔습니다. 핵 무력을 포기하지 않겠다는 메시지로 보입니다?<br /><br /> 북한은 연일 '화성-17형' 발사 성공을 자축하고 있는데요. "핵 선제타격권은 미국에만 있는 게 아니"라고 위협하면서, 핵에는 핵으로 정면 대결에는 정면 대결로 답하겠다고 밝혔습니다. 지난 9월 핵 무력 법제화 이후 '선제 타격'을 언급하는 배경, 어떻게 보십니까?<br /><br /> 북한 조선중앙통신 보도 중 '대륙간탄도미사일부대'가 처음으로 등장했습니다. 북한이 이 부대를 공개한 의도는 어떻게 보십니까?<br /><br /> 북한이 화성-17형 정상 발사 시 최대 1만 5000㎞ 사거리를 입증했다고 해도 대기권 재진입이나 다탄두 탑재 능력은 검증이 필요하다는 평가가 여전합니다? 기술력 검증을 위한 추가 시험발사에 나설 것이란 관측, 어떻게 보십니까?<br /><br /> 당초 예상됐던 북한의 7차 핵실험 시기는 계속해서 늦어지고 있는데요, 핵실험은 중국의 부담도 크기 때문에 ICBM으로 대미 견제 극대화에 나선 것으로 봐야 할까요?<br /><br /> 핵실험을 위한 최적의 시기를 고민하고 있는 북한이 미국에 자신들을 핵보유국으로 인정하고 핵 군축 담판에 나오라는 메시지를 던졌다는 해석도 나옵니다. 어떻게 생각하십니까?<br /><br /> 특히 김정은 위원장이 처음으로 어린 딸을 데리고 시험 발사를 참관했는데요. 어떤 의도라고 보십니까?<br /><br /> 김일성 주석에 이어서 어버이 수령의 이미지를 만들기 위한 것이라는 해석도 나오는데, 그럼에도 불구하고 핵무기 발사 현장에 어린 자녀를 데려간 것 보통은 상상하기 어려운 일 아니겠습니까?<br /><br /> 2018년 4월 당시 폼페이오 미 CIA 국장의 방북 당시 "자녀들이 평생 핵을 지니고 살기를 원하지 않는다"고 말했다고 알려져 있는데요. ICBM 발사 현장에 딸을 데리고 간 것, 더 이상 비핵화는 협상 대상이 아니라는 메시지로도 봐야 할까요?<br /><br /> G7 외무장관들은 성명을 내고 북한의 미사일 발사를 규탄했습니다. 내일 열리게 될 UN 안보리 회의에서 상임이사국인 중국과 러시아의 역할을 주문한 것으로 해석되는데요. 추가 제재 결의안 등이 통과될 가능성이 있을까요?<br /><br /> 북한 최선희 외무상이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을 향해 강한 유감을 표명했습니다. 유엔의 규탄 성명과 안보리 회의 소집에 불만을 드러내며 구테흐스 총장을 "미국의 꼭두각시"라고 비난했습니다. 비난 담화의 의도, 어떻게 보십니까?<br /><br /> 마이크 펜스 전 미국 부통령이 최근 회고록을 출간했는데요. 여기에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 행사에서 북한의 김여정, 김영남과 마주치는 일을 일부러 피했다고 밝혔습니다. 문재인 전 대통령이 만남을 주선하려고 했지만, 의도적으로 사진 촬영 등에도 응하지 않았다는 건데요. 당시 우리 정부와 미국의 입장, 어떤 차이가 있었다고 보면 될까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